마이크로소프트 이메일 계정이 있다면 꼭 확인해 봐야 할 일이 생겼다.
갖고 있는 핫메일 계정의 불법 로그인 시도가 한시간 두시간 세시간 규칙적인 간격으로 계속 있었다는 오늘 알았다.
공교롭게도 SKT 해킹 발견일인 4월 18일부터 불법 로그인 시도 기록이 있다.
최근에 SK텔레콤 해킹 이후 여러 기업의 해킹 소식이 잇다르고 있다.
그리고 오늘 마이크로소프트 계정의 최근 활동을 확인하니 전 세계 곳곳에서 로그인 시도한 기록이 남아 있었다.
다행히 로그인 시도는 모두 실패 상태였다.
핫메일 로그인 활동 보기
Microsoft.com 계정 로그인 후, 우상단 [사람] Icon 클릭 후 내 계정 정보 클릭
왼쪽 메뉴 중 '보안' 클릭 후, 중단 즈음 '계정' - '내 로그인 활동 보기' 누르면, 4월 18일 이후로 전 세계 곳곳에서 로그인 시도 내역을 확인할 수 있다.
기록 히스토리를 보면 2023년 4월 18일부터 꾸준히 지속적으로 시도해 왔다.
정말 불안하다!
대응 방법
1. 핫메일 별칭 추가 변경 삭제
2. 2단계 인증 켜기
핫메일 별칭 추가 변경 삭제는 유출된 이메일 대신 다른 이메일을 통해 로그인을 하는 방법이다.
2단계 인증은 로그인 시도 시 마이크로소프트 인증앱, 다른 이메일, 문자 등과 같은 추가 인증 과정을 거치도록 하는 방법이다.
위 2개를 다 사용하는 게 좀 더 안전하다.
전체 확인 변경 방법
1. microsoft.com 로그인
2. 우상단 [사람 아이콘] 계정 관리자 클릭 > 내 Microsoft 계정 클릭
3. 왼쪽 메뉴 [보안] 클릭 > 화면 중단 [내 로그인 활동 보기] 클릭
4. 최근 활동 내역 확인 : 이 글 첫 이미지와 같이 전 세계 곳곳에서 로그인 시도 흔적이 있다면 다음과 같이 [별칭 추가/변경/삭제]를 진행한다.
5. 우상단 [ ? ] 물음표 아이콘 클릭 > 계정 프로필 클릭 > 전자 메일 주소 변경 클릭
6. 도움말 하단 [계정 정보 편집] 클릭하면 새창으로 Microsoft 로그인 방법 관리 화면이 뜬다.
7. [계정 별칭] 하단에 파란색 글씨로 [전자 메일 추가]를 누른다.
8. 별칭 추가 화면에서 [기존 메일 주소를 Microsoft 계정 별칭으로 추가]를 누르고 사용중인 메일 타메일 계정을 추가한다. (예. xxxxxx@gmail.com)
9. 입력한 지메일로 확인 메일이 가면 메일 내 확인 링크를 클릭한다.
추가로 [보안] [로그인 방법 관리] [2단계 인증] 을 켜고 사용하면 좀 더 안전하다.
'알면 유용한 팁' 카테고리의 다른 글
모바일 단말기 핸드폰 USIM PIN 비밀번호 설정하기 (4) | 2025.04.29 |
---|---|
SKT 해킹 대응 필수 확인 (3) | 2025.04.27 |
코스트코 회원이 알아야 할 필수 정보 (1) | 2025.04.22 |
부동산 거래시 유용한 신원확인 조회 사이트 3곳 (0) | 2025.04.20 |
씽글벙글 서울, 서울 1인가구 포털 (0) | 2025.04.17 |
댓글